차세대 사업을 시작하면서
2016년 8월 6일 토요일, 오후 3:42:29
차세대 사업을 시작하면서...
사업기획과 사업진행은 어떻게 해야 할까?
내가 지금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은 SI(System Integration)일을 주로 하고 있다.
SI의 특성은 우리 회사의 일이 아닌 고객사(공공, 유통, 통신, 금융)에 제안을 하여 수주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간혹 BPR/ISP 또는 PI를 통해서 차세대 계획(일정, 비용, 범위)을 세우고 그 계획을 바탕으로 제안요청서를 작성하고 사업자를 선정한다.
우리 회사와 나는 고객사에 차세대 ISP를 사전에 진행하였고 차세대 구축 사업의 제안을 통하여 수주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그렇다면 차세대 사업 제안의 핵심은 뭘까?
공공사업이라면 공익성이 주가 될 테고 민간사업이라면 저비용 고효율이 핵심이다. 또한, 저비용이 아닌 매출을 늘릴수 있는 제안을 반드시 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 회사는 나는 고객사에 그런 제안을 해서 수주했다.
수주한 회사는 고객사에 제안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 여건상 어려운 게 하나 있다. 수주한 회사는 고객사 만을 위하여 인력을 준비하는 기간과 인력이 항상 부족하다. 다른 말로 제안 기간과 프로젝트 투입시점이 긴 경우 투입인력의 확보가 어렵다는 이야기.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를 3가지 들자면 비용, 일정, 인력이다. 그런데 비용과 일정은 확정이 가능하지만 인력은 확정이 어렵다는 이야기 하지만 인력의 확정이 어렵기 때문에 비용과 일정도 같이 흔들린다.
프로젝트는 실력 있는 능력자들이 많은 게 중요한 게 아닌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사람들 간의 협업체계, 협력 등이 중요한데 제안과 프로젝트 투입 시 인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고객사와 수주사간의 기본적인 약속을 위반한 것인데 최근의 사업들을 지켜보면 아니 그동안의 사업들을 지켜보면 제안한 인력과 실 투입인력의 차이가 반드시 발생한다.
원활한사업의 진행을 위해서는 제안했던 인력이(최적의 인력투입 구성안) 변경되지 않고 최적의 일정계획을 통하여 진행되어야 하지만 수주 사는 그럴만한 여력이 없다.
이런 사실을 고객사는 알고 있을까? 알고 있다면 고객사와 수주사간의 잘못된 관행을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하지만 내가 IT를 시작하기 전부터 지금까지 그런 사례(제안한 인력=실투입인력)는 손에 꼽힐 정도가 아닐까 싶다. 특히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더 그렇다.
화두는 열었다. 10명 이상명이상 투입되는 사업을 기획할 때 비용을 어떻게 산정하고 고객사는 제안업체에게 명확히 공지해야 한다. 제안 인력과 투입 인력은 반드시 지켜 달라고
수주 사는 제안 인력과 투입인력을 반드시 지키기 위해서는 비용을 더 내셔야 한다고
결국 내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고객사(발주사)와 제안사(수주사)가 더 제대로 일하고 비싼 돈 들인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서로가 양보할 건 양보하고 줄 건 주는 그런 관행이 국내 정착되길 기원한다.
IT 생태계가 좋아지기 위해서는 지금의 방식으로는 악순환 계속될 것이다. 프로젝트는 항상 실패하고 일할 사람들은 저비용으로 인하여 이직하고 남아 있는 사람들은 박봉에 야근을 밥먹듯이 하는 그런 결과 말이다.